본문 바로가기

달콤리뷰

2023 달력 후기 (벽걸이 큰 농자연 달력, 24절기 및 음력)

반응형

12월이 되면 어김없이 새해 달력을 구매합니다. 달력도 인테리어의 한 부분이라 생각해 고심 끝에 예쁘고 우리 집에 잘 어울리는 달력을 걸어놓는데요. 요번 2023년 달력은 나름 초보 식 집사에게 유리한 달력을 골랐어요. 음력과 절기도 잘 나타나 있고 그림체도 귀여운 <2023 농. 자연 달력> 후기 올려봅니다.

 

 

함께 보는 2023 벽걸이 달력(시골살이 탐구소 밥상 농 자연 달력) 후기


2023-달력
2023 달력

 

해마다 이 맘때가 되면 시간이 정말 빠름을 실감합니다. 벌써 12월 하고도 열흘이 지났어요. 이제 1년 동안 걸어둔 2022년 달력을 뒤로하고 새로운 2023년 달력을 걸 때가 되었나 봅니다. 저희 집 식탁 뒤에는 온 가족이 볼 수 있는 벽걸이 달력이 걸려있어요. 밥 먹으면서 이런저런 이야기도 하고, 한 달 스케줄을 이야기하려면 아무래도 달력이 걸려있어야 편하더라고요.

 

2023-달력-추천
2023 달력 추천

 

아무래도 달력을 고르는 것은 은근 신경쓰이는 일이 아닌가 싶은데요, 이번에는 귀염 뽀짝 한 달력을 골랐습니다. 바로 양력과 음력, 절 기력 등이 표시된 <농. 자연 달력>이에요. 이 달력은 몇 년 전 동네 서점 갔다가 초등학생 그림처럼 귀여워서 한눈에 반해 샀던 달력이에요. 한동안 안 사고 다른 달력 걸다가 이번에 제가 식물 키우기에 맛을 들여 다시 구매해보았습니다.

 

 

달력은 저마다의 스타일이 있어서 취향껏 고르면 되는데요, 아무래도 글씨가 크고 음력이나 절기가 표시되어 있으면 부모님 생신도 챙길 수 있고, 계절이 가는 것도 알 수 있어 도움이 되더라고요. 이 달력은 초등학교나 초등학생 자녀둔 댁에서도 인기가 많은 달력이라고 하네요.ㅎ

 

농사-달력
농사 달력

 

달력 구석구석에 식물이나 텃밭 작물 키우는 것에 대한 팁들이 나와있어 한 평 텃밭이 있는 저에게는 좀더 유용한 달력이에요. 벽걸이 큰 달력 외에 탁상 달력도 있는데 탁상 달력은 이미 심플하고 미니미한 것을 구매해서 요번에는 시원시원한 달력을 샀습니다.

 

 

2023년 24 절기


2023년-음력-절기-달력
2023년 음력 절기 달력

 

2023년은 계묘년 토끼띠의 해라고 해요. 2022년 12월 22일은 동지라는데요, 동지는 한겨울 해가 가장 짧은 때를 말하죠. 이런 농자연 달력은 동지만 표시된 게 아니라 이렇게 뜻도 같이 나와있어 절기 공부하는데도 여간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에요.

그럼 한번 농자연 달력에 나와있는 2023년 24절기를 알아볼까요?

  • 소한 1월 6일(음력 12월 15일): 작은 추위, 실제로는 일 년 중 가장 추운 때
  • 대한 1월 20일(음력 12월 29일): 큰 추위_ 대한이 지나면 추위는 이제 지나갔다고 하죠;;
  • 입춘 2월 4일(음력 1월 14일): 봄기운이 일어서다. 봄을 시작하는 절기_ 제가 알기로는 입춘을 기점으로 띠가 바뀐다고 해요.

 

 

  • 우수 2월 19일(음력 1월 29일): 봄비, 언 땅이 녹고 움이 트기 시작하는 때
  • 경칩 3월 6일(음력 2월 15일): 겨울잠에서 깨다_ 개구리가 튀어나오는 때가 경칩이라죠?
  • 춘분 3월 21일(음력 3월 1일): 한 봄, 낮의 길이와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때_ 그러면 이때까지는 밤의 길이가 길었다는 것이겠죠?

 

2023-24절기
2023 24절기

 

  • 청명 4월 5일(음력 2월 15일): 맑고 밝다. 봄기운이 완연해지는 때_ 우리의 식목일이 4월 5일인 이유가 있었군요..
  • 곡우 4월 20일(음력 3월 1일):  곡식을 위한 비_ 곡우라는 절기는 처음 들어보았네요.. 좋은 봄비네요.
  • 입하 5월 6일(음력 3월 17일): 여름 기운이 일어서는 때_ 어린이날 날씨 참 좋죠~
  • 소만 5월 21일(음력 4월 2일): 만물이 차오르는 때
  • 망종 6월 6일(음력 4월 18일): 알곡, 밀 보리를 거두고, 벼 모내기를 할 때_ 이렇게 보면 절기와 농사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네요.

 

 

  • 하지 6월 21일(음력 5월 4일): 한 여름, 해가 가장 긴 때_ 하지가 지나면 본격적으로 더워지기 시작하는 것 같아요~
  • 소서 7월 7일(음력 5월20일): 작은 더위_ 무더위의 시작이죠.. 이때부턴 집에서도 에어컨은 필수죠.
  • 대서 7월 23일(음력 6월 6일): 큰 더위_ 피서철이죠. 태양을 피하고 싶었어... 요^^
  • 입추 8월 8일(음력 6월 22일): 가을 기운이 일어서는 때_ 아 가을바람이 정말 그리워지는 때이죠.
  • 처서 8월 23일(음력 7월 8일): 더위가 물러나는 때_ 신기하게 처서 지나면 아침저녁으로 시원하다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24절기-달력
24절기 달력

 

  • 백로 9월 8일(음력 7월 24일): 하얀 이슬, 일교차로 풀잎에 이슬이 맺히는 때_ 아름다운 날들이죠~
  • 추분 9월 23일(음력 8월 9일): 한가을,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때_ 놀러 가기 너무 좋은 날들이에요.. 가을 가을 한 날들^^
  • 한로 10월 8일(음력 8월 24일): 찬 이슬, 일교차가 커져서 찬 이슬이 맺히는 때_ 백로, 한로 모두 이슬이네요.
  • 상강 10월 24일(음력 9월 10일): 서리가 내리다_ 이제 아침저녁 쌀쌀하죠~ 보일러를 틀기도 해요.
  • 입동 11월 8일(음력 9월 25일): 겨울 기운이 일어서는 때_ 입동이 지나면 슬슬 김장 준비를 하죠. 배추값이 궁금해지는 때..

 

 

  • 소설 11월 22일(음력 10월 10일): 첫눈_ 소설에 첫눈이 왔나 봐요. 저는 주로 12월에 봐서 11월에도 오는 줄은 몰랐네요.
  • 대설 12월 7일(음력 10월 25일): 함박눈, 땅이 얼어붙기 시작하는 때_ 아아 대설이면 큰 눈이 오죠.. 이제 롱 패딩은 필수예요~
  • 동지 12월 22일(음력 11월 10일): 한 겨울, 해가 가장 짧은 때. _ 동지에는 팥죽 아시죠? 미리미리 준비해요^^

 

이렇게 2023 24절기를 농, 자연 달력으로 알아봤어요. 저도 이렇게 정리하면서 알게 된 절기가 제법 있는데요, 자연과 함께 계절을 느끼고 또 식물과 곡식을 보살피는 것이 결국 살아 숨 쉬는 일이 아닌가 싶어요.

 

텃밭-살림-식집사-달력
텃밭 살림 식집사 달력

 

밭일 살림 및 작물 재배 텃밭 농사 팁

이 외에도 농자연 달력에는 텃밭이나 작물을 가꾸는 굉장한 팁들이 많이 들어있는데요, 꼭 농사나 텃밭을 가꾸지 않아도 이런 절기를 알아가고 대비하는 것에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음 저같은 초보 식집사를 위한 맞춤달력같네요. 한 면에 귀여운 그림들과 함께 적혀있는 깨알 정보를 보노라면 지혜도 얻고 재미있기도 해서 한참 보게 된답니다.

이상으로 농자연 달력, 2023 벽걸이 달력 후기 적어보았습니다. 2023년 달력 아직 못 결정하셨다면 추천합니다. 가족들 모두 재미있게 보실 수 있을 거예요. 그럼 모두들 좋은 날 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