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이 되면 어김없이 새해 달력을 구매합니다. 달력도 인테리어의 한 부분이라 생각해 고심 끝에 예쁘고 우리 집에 잘 어울리는 달력을 걸어놓는데요. 요번 2023년 달력은 나름 초보 식 집사에게 유리한 달력을 골랐어요. 음력과 절기도 잘 나타나 있고 그림체도 귀여운 <2023 농. 자연 달력> 후기 올려봅니다.
함께 보는 2023 벽걸이 달력(시골살이 탐구소 밥상 농 자연 달력) 후기
해마다 이 맘때가 되면 시간이 정말 빠름을 실감합니다. 벌써 12월 하고도 열흘이 지났어요. 이제 1년 동안 걸어둔 2022년 달력을 뒤로하고 새로운 2023년 달력을 걸 때가 되었나 봅니다. 저희 집 식탁 뒤에는 온 가족이 볼 수 있는 벽걸이 달력이 걸려있어요. 밥 먹으면서 이런저런 이야기도 하고, 한 달 스케줄을 이야기하려면 아무래도 달력이 걸려있어야 편하더라고요.
아무래도 달력을 고르는 것은 은근 신경쓰이는 일이 아닌가 싶은데요, 이번에는 귀염 뽀짝 한 달력을 골랐습니다. 바로 양력과 음력, 절 기력 등이 표시된 <농. 자연 달력>이에요. 이 달력은 몇 년 전 동네 서점 갔다가 초등학생 그림처럼 귀여워서 한눈에 반해 샀던 달력이에요. 한동안 안 사고 다른 달력 걸다가 이번에 제가 식물 키우기에 맛을 들여 다시 구매해보았습니다.
달력은 저마다의 스타일이 있어서 취향껏 고르면 되는데요, 아무래도 글씨가 크고 음력이나 절기가 표시되어 있으면 부모님 생신도 챙길 수 있고, 계절이 가는 것도 알 수 있어 도움이 되더라고요. 이 달력은 초등학교나 초등학생 자녀둔 댁에서도 인기가 많은 달력이라고 하네요.ㅎ
달력 구석구석에 식물이나 텃밭 작물 키우는 것에 대한 팁들이 나와있어 한 평 텃밭이 있는 저에게는 좀더 유용한 달력이에요. 벽걸이 큰 달력 외에 탁상 달력도 있는데 탁상 달력은 이미 심플하고 미니미한 것을 구매해서 요번에는 시원시원한 달력을 샀습니다.
2023년 24 절기
2023년은 계묘년 토끼띠의 해라고 해요. 2022년 12월 22일은 동지라는데요, 동지는 한겨울 해가 가장 짧은 때를 말하죠. 이런 농자연 달력은 동지만 표시된 게 아니라 이렇게 뜻도 같이 나와있어 절기 공부하는데도 여간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에요.
그럼 한번 농자연 달력에 나와있는 2023년 24절기를 알아볼까요?
- 소한 1월 6일(음력 12월 15일): 작은 추위, 실제로는 일 년 중 가장 추운 때
- 대한 1월 20일(음력 12월 29일): 큰 추위_ 대한이 지나면 추위는 이제 지나갔다고 하죠;;
- 입춘 2월 4일(음력 1월 14일): 봄기운이 일어서다. 봄을 시작하는 절기_ 제가 알기로는 입춘을 기점으로 띠가 바뀐다고 해요.
- 우수 2월 19일(음력 1월 29일): 봄비, 언 땅이 녹고 움이 트기 시작하는 때
- 경칩 3월 6일(음력 2월 15일): 겨울잠에서 깨다_ 개구리가 튀어나오는 때가 경칩이라죠?
- 춘분 3월 21일(음력 3월 1일): 한 봄, 낮의 길이와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때_ 그러면 이때까지는 밤의 길이가 길었다는 것이겠죠?
- 청명 4월 5일(음력 2월 15일): 맑고 밝다. 봄기운이 완연해지는 때_ 우리의 식목일이 4월 5일인 이유가 있었군요..
- 곡우 4월 20일(음력 3월 1일): 곡식을 위한 비_ 곡우라는 절기는 처음 들어보았네요.. 좋은 봄비네요.
- 입하 5월 6일(음력 3월 17일): 여름 기운이 일어서는 때_ 어린이날 날씨 참 좋죠~
- 소만 5월 21일(음력 4월 2일): 만물이 차오르는 때
- 망종 6월 6일(음력 4월 18일): 알곡, 밀 보리를 거두고, 벼 모내기를 할 때_ 이렇게 보면 절기와 농사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네요.
- 하지 6월 21일(음력 5월 4일): 한 여름, 해가 가장 긴 때_ 하지가 지나면 본격적으로 더워지기 시작하는 것 같아요~
- 소서 7월 7일(음력 5월20일): 작은 더위_ 무더위의 시작이죠.. 이때부턴 집에서도 에어컨은 필수죠.
- 대서 7월 23일(음력 6월 6일): 큰 더위_ 피서철이죠. 태양을 피하고 싶었어... 요^^
- 입추 8월 8일(음력 6월 22일): 가을 기운이 일어서는 때_ 아 가을바람이 정말 그리워지는 때이죠.
- 처서 8월 23일(음력 7월 8일): 더위가 물러나는 때_ 신기하게 처서 지나면 아침저녁으로 시원하다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 백로 9월 8일(음력 7월 24일): 하얀 이슬, 일교차로 풀잎에 이슬이 맺히는 때_ 아름다운 날들이죠~
- 추분 9월 23일(음력 8월 9일): 한가을,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때_ 놀러 가기 너무 좋은 날들이에요.. 가을 가을 한 날들^^
- 한로 10월 8일(음력 8월 24일): 찬 이슬, 일교차가 커져서 찬 이슬이 맺히는 때_ 백로, 한로 모두 이슬이네요.
- 상강 10월 24일(음력 9월 10일): 서리가 내리다_ 이제 아침저녁 쌀쌀하죠~ 보일러를 틀기도 해요.
- 입동 11월 8일(음력 9월 25일): 겨울 기운이 일어서는 때_ 입동이 지나면 슬슬 김장 준비를 하죠. 배추값이 궁금해지는 때..
- 소설 11월 22일(음력 10월 10일): 첫눈_ 소설에 첫눈이 왔나 봐요. 저는 주로 12월에 봐서 11월에도 오는 줄은 몰랐네요.
- 대설 12월 7일(음력 10월 25일): 함박눈, 땅이 얼어붙기 시작하는 때_ 아아 대설이면 큰 눈이 오죠.. 이제 롱 패딩은 필수예요~
- 동지 12월 22일(음력 11월 10일): 한 겨울, 해가 가장 짧은 때. _ 동지에는 팥죽 아시죠? 미리미리 준비해요^^
이렇게 2023 24절기를 농, 자연 달력으로 알아봤어요. 저도 이렇게 정리하면서 알게 된 절기가 제법 있는데요, 자연과 함께 계절을 느끼고 또 식물과 곡식을 보살피는 것이 결국 살아 숨 쉬는 일이 아닌가 싶어요.
밭일 살림 및 작물 재배 텃밭 농사 팁
이 외에도 농자연 달력에는 텃밭이나 작물을 가꾸는 굉장한 팁들이 많이 들어있는데요, 꼭 농사나 텃밭을 가꾸지 않아도 이런 절기를 알아가고 대비하는 것에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음 저같은 초보 식집사를 위한 맞춤달력같네요. 한 면에 귀여운 그림들과 함께 적혀있는 깨알 정보를 보노라면 지혜도 얻고 재미있기도 해서 한참 보게 된답니다.
이상으로 농자연 달력, 2023 벽걸이 달력 후기 적어보았습니다. 2023년 달력 아직 못 결정하셨다면 추천합니다. 가족들 모두 재미있게 보실 수 있을 거예요. 그럼 모두들 좋은 날 되세요~
'달콤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크대 거름망 겟컴피 세라스텐, 깨끗 깨끗 솔직 내돈내산 후기 (4) | 2023.01.12 |
---|---|
반찬해결사 내돈내산 후기, 간편한 한 달 식단 (0) | 2022.12.13 |
빌라 수도 누수 공사 후기 (2) | 2022.11.08 |
2023 다이어리 교보문고 구경 (0) | 2022.10.27 |
루바브 뿌리 추출물 내돈내산 후기(효능은?) (0) | 2022.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