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달콤리뷰

꼭 읽어야할 수필집 피천득의 '인연'

728x90
반응형

오랜만에 다시 피천득 님의 수필집 '인연'을 읽고 싶었습니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수필가 하면 바로 피천득 선생님이죠. 저 역시 중학교 때 교과서에 실린 그의 글을 보고 그 후로 가장 좋아하는 수필가가 되어버렸죠. 얼마 전 영화 리뷰를 하다가 만남에 대한 글을 썼는데 그때 떠오르는 문장이 '인연'에 실린 글이었어요. 오늘은 얼마 전 다시 구매한 책 리뷰해볼게요.

 

 

피천득 '인연'  을 읽으며


피천득-인연
피천득 인연

 

살아가면서 수 백, 아니 수 천권의 책을 만나고 매일매일 문장을 접하고 매일매일 상념과 사념에 사로잡힙니다. 그런 가운데에도 가슴속에 영롱한 글들이 반짝이는 그런 문장들이 있는데요, 저에게는 그 주인공이 수필가 피천득 님과 법정 스님의 글들이었습니다.

 

맑고 향기롭게라는 글귀만 들어도 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법정스님의 글들이 30대 이후로 제 마음을 울렸다면 그 보다 훨씬 전에 저는 피천득님의 글로 삶의 한 면을 키워나갔던 것 같아요.

 

수필집-인연-후기
수필집 인연 후기

 

요즘이야 인터넷의 많은 정보로 책의 글들이 그렇게 귀하겠냐만은 제 어린시절, 대학 다니는 순간에도 책은 정보의 보고이고 바다였죠.

 

 

대학 시절 방학만 되면 도서관에 처박혀 수많은 책을 읽었던 순간들이 행복하고 귀한 시간이었음을 이제는 좀 알 것 같고 그리워도 집니다.

 

한국-수필-문학의-정수
한국 수필 문학의 정수

 

사춘기가 모락 모락할 즈음 피천득 님의 <인연>을 읽고, 다시 만난다는 것은 무엇인지 한동안 깊이 생각했던 것 같아요. 누굴 좋아한 것도 아닌데(아 tv속 가수님들 좋아했어요) 왜 그랬는지,, 지금 생각해보면 그 스토리보다는 맑고 청아한 문체에 빠져들었던 것 같아요.

 

피천득-수필집
피천득 수필집

 

요즘 저도 블로그다 뭐다 매일 같이 글 같지 않은 글을 쏟아내고, 언젠가부턴 카톡으로 브런치의 글들을 반 강제적으로 받고 있는데, 가끔씩 글도 공해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 가운데에 씁쓸하지만 저의 블로그 포스팅도 포함되어 있고요.

 

한국인이-가장-좋아하는-수필가-중-한-분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수필가중 한 분

 

하지만 나름 뭐라도 하려고 블로그 포스팅을 하는 지라 멈출 수는 없는데 그 가운데 한 두 번의 포스팅은 제 글이 좀 글다웠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맑고 청아롭지는 못해도 적어도 공해 수준에서는 탈피하고 싶어요.

 

인연-리뷰
인연 리뷰

 

그럴 때 저의 위로가 되고 본받이가 되는 책이 바로 이 피천득 님의 '인연'이란 수필집입니다.

 

 

글은 결국 그 사람의 생각에 의해 나오는데, 어떻게 하면 저렇게 단순하지만 깊은 성찰을 하고 또 그 성찰을 그리도 쉽고 아름답게 풀어내는지 그저 책을 읽을 때에는 감탄만 하게 됩니다. 정말 반의 반의 반만이라도 닮고 싶습니다.

 

피천득-수필집-인연
피천득 수필집 인연

 

 

수필가 피천득님은?


피천득 님의 호는 금아이고 1910년도에 출생하셨어요.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광복 이후 서울대 교수 등을 역임하셨답니다. 나무 위키에 기재된 내용을 살펴보면서 재미있는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요, 얼마 전 제가 포스팅한 시 '가지 않은 길'의 저자 로버트 프로스트와도 지인이어서 이 시를 피천득 선생님이 번역하셨다고 해요. 

또한 '방망이 깎던 노인'의 저자 윤오영 님과도 또한 도산 안창호 선생님과도 지인이시고요.. 그의 호는 춘원 이광수 님이 지어주셨다고 하는데 '거문고를 타고 노는 때 묻지 않은 아이'라는 뜻이랍니다. 말년에는 작품활동을 안 하셨는데 그 이유가 예전에 썼던 글보다 좋은 글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셨답니다. 멈출 줄 아는 지혜를 알고 계신 분. 물론 독자에게는 아쉽지만요.

 

 

그의 이력을 보면서 딸내미 바보인 것도 알았고 그 따님이 후에 물리학 박사가 되어 미국 보스턴 대 교수가 된 것을 알게 되었는데 생전에 마리 퀴리와 아인슈타인을 멘토로 삼을 것을 권했다고 합니다. 이 부분이 저를 많이 생각하게 하였는데 저 역시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로서 과연 내 아이들에게 누구를 멘토로 삼을 것을 권했나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리고 과연 저의 멘토는 누구였을까라는 생각도요.

성장하면서 멘토를 만난다는 것은 정말 멋지고 중요한 일입니다. 살아있는 인물일 수도 있고 책으로만 볼 수 있는 스승일 수도 있어서요. 지금의 저에게는 법정 스님과 헬렌 니어링, 그리고 요즘 사업가로 부호가 되신 김승호 회장님이 떠오르네요. 그런데 어린 시절에는 그렇게 제 가슴속에 본보기로 삼을 만한 멘토는 못 찾았던 것 같아요. 훌륭한 부모 밑에서 아이들이 잘 자랄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됩니다.

 

인연-내용중
인연 내용중

 

마지막으로 수필 <인연>에 실린, 제 마음속에 오랫동안 남아 있던 구절 소개하면서 이 글을 마칠까 합니다. 

 

인연-명구절
인연 명구절

 

'그리워하는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 아사코와 나는 세 번 만났다. 세 번째는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이다.'

 

 

728x90
반응형